서울시 도봉구 육아 정보 한 눈에!

우리 동네 육아정보의 시작, 육아 지원 공공 기관

도봉구 육아종합지원센터 대표 이미지

도봉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주소

서울시 도봉구 방학로 12길 28

전화번호

02-3494-3341

도봉구 병원·약국 정보

도봉구 엄마들의 커뮤니티, 크루톡

달이 지구에서 멀어지는 속도가 손톱이 자라는 속도랑 똑같대요!🌙

어제 유튜브 흘려들으려고 틀어놨다가 알게 된 사실인데, 왠지 낭만적이고 귀엽지 않나요? ㅎㅎㅎㅎ 달이 일년에 3.8cm씩 지구에서 멀어지는데, 우리 손톱도 일년에 3.8cm씩 자란다네요! 그래서 "손톱이 자랄 때마다 달이 이만큼 멀어졌구나, 생각해보세요"라는 말이 뭔가 마음에 남았어요..ㅎㅎ 궁금하신 분들 계실것같아서 관련된 기사 링크 하나 가져왔어요 --- 지구에서 떨어져 나간 쌍생아…평균거리 38만km 해마다 3.8센티미터씩 멀어져 50억 년 후에 멈춰 달의 기원에 대해서는 그동안 여러가지 설이 제기됐지만, 현재 과학자들은 충돌설을 가장 유력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는 지구가 생겨날 때 화성 크기의 천체와 지구가 충돌했는데, 이 때 지구의 일부분이 떨어져 나가 달이 되었다는 설이다. 따라서 지구와 달은 나이가 같다. 과학자들은 그 시점을 46억년 전 태양계가 형성되기 시작하고 나서 5천만년쯤 지났을 때로 추정한다.  지구와 달은 태양 주위를 돌면서 서로를 밀치는 원심력과 서로를 끌어당기는 중력의 절묘한 균형을 통해 현재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달은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같다. 한 달에 한 번 한 바퀴를 돈다. 따라서 지구에서 보는 달은 항상 같은 쪽이다. 달이 처음부터 이랬던 건 아니다. 달보다 강력한 지구 중력이 점차 달의 회전을 느리게 만들었다. 그리고 달의 회전이 공전주기에 맞춰 느려지는 시점에서 안정을 찾은 것이다. 다른 행성들의 위성들도 달과 비슷한 방식으로 모행성 주위를 돈다.  현재 달의 공전주기는 27.3일. 지구도 태양을 돌기 때문에, 달이 지구에 같은 모습으로 등장하려면 29.5일이 걸린다. 이것이 바로 음력의 한 달이다. 지구와 달의 평균거리는 38만킬로미터.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의 400분의 1이다. 공교롭게도 달의 지름도 태양의 약 400분의 1이다. 개기일식이나 개기월식이 가능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달은 매년 3.8센티미터씩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손톱이 자라는 속도와 같다. 이는 밀물 때 바다가 부풀어 오르는 에너지와 지구의 회전 에너지가 결합하면서 달을 조금씩 밀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지구의 자전에 브레이크를 거는 효과도 있다. 과학자들은 이런 현상은 달의 공전주기가 47시간으로 늘어날 때까지 계속될 것으로 내다본다. 그 때가 되면 지구의 자전주기도 47시간으로 늘어나 멀어지게 하는 힘이 사라진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의 계산에 따르면 지구의 하루는 45억년마다 19시간이 길어진다. 이 점을 고려하면 달이 지구에서 멀어지는 현상은 대략 50억년 후에 멈춘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때 지구와 달의 거리는 55만킬로미터. 이를 역산하면 달이 처음 생겼을 당시 지구의 하루는 5시간, 달과 지구의 거리는 2만2530킬로미터다.  인류는 1969년 달에 첫발을 내디뎠다. 하지만 유인 달착륙 기간은 4년에 불과했다. 1972년 아폴로17호를 끝으로 43년 동안 아무도 달을 밟아보지 못하고 있다. 여담이지만, <달의 몰락>을 지은 김현철은 닐 암스트롱이 인류 처음으로 달을 밟은 해에 태어났다. 곽노필 기자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710497.html

허니자몽티 • 쌍문동

5일 전

👜 나들이철, 잃어버린 물건? ‘lost112’부터 찾으세요!

봄볕 좋은 날, 아이랑 외출하면요…
챙길 것도, 잃어버릴 것도 많아져요. ㅎㅎ 기저귀, 물티슈, 간식통, 모자, 블록 장난감에
엄마 가방 속엔 핸드폰, 카드지갑, 무선이어폰까지...
이 와중에 “어? 내 이어폰 어디 갔지?” 이런 일, 너무 흔하죠.
(저만 그런 거 아니죠...?😅) 그러다 진짜 분실하면 당황부터 되는데요,
그럴 땐 **‘lost112’**부터 들어가보세요.
서울 전역의 유실물 정보가 한 곳에 모여 있어요. 서울경찰청 유실물센터에 가면
정말 “이게 다 잃어버린 물건이라고?” 싶을 정도로
별의별 물건이 다 모여 있다고 해요. 특히 요즘엔 무선이어폰 분실이 엄청 많대요!
(시리얼번호 저장해 두는 습관, 진짜 필수랍니다.) 📍 혹시라도 물건을 잃어버렸다면? 1. 가까운 파출소에 먼저 신고 2. 경찰청 유실물 포털 ‘lost112’ 접속 3. ‘주인을 찾아요’ 메뉴에서 습득물 검색 4. 없다면 분실물 신고하기 (회원가입 후) 사진도 올라와 있어서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고,
신분증만 지참하면 직접 찾아갈 수도 있어요.
(서울경찰청 유실물센터는 연희동에 있어요!) 🧸 사실 아기랑 나들이 다니다 보면
물건 하나쯤 놓고 오는 거, 정말 흔한 일이잖아요.
하지만 잃어버렸다고 포기하기 전에,
lost112에서 꼭 한번 찾아보세요! 서울경찰청 서대문 유실물센터 ○ 위치 :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11나길 32 ○ 업무시간 : 평일 9~18시(점심시간, 공휴일 제외) ○ 경찰청 유실물 통합포털 : lost112

익명의 크루

1주 전

도봉구 육아 모임

도봉구 동네 일자리 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