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크루
  • 자유톡
익명의 크루
익명의 크루
엄마

SKT 유심 정보 유출...

크루톡 이미지
1/1

skt 해킹당했다고 하는데 skt 쓰시는분들 조심하셔야겠어요 탈취한 유심 복제한 '유령 휴대폰'으로 자산 뺏는 '심 스와핑' SKT "가능성 매우 낮다"지만 불안한 이용자들 자구책 모색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국내 최대 가입자를 보유한 SK텔레콤에서 해커가 내부 시스템에 침투하며 고객 유심(USIM) 정보 일부가 탈취된 사건이 일어나자 이용자 불안이 커지고 있다. 특히 3년 전 국내 코인 투자업계를 들썩이게 했던 '심 스와핑' 사건에서 해킹된 유심 정보가 복제돼 자산 탈취에 쓰인 정황이 유력했다는 점에서 SK텔레콤을 이용하는 가상자산 투자자들은 서둘러 자구책 마련에 나서는 상황이다 2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이 사내 시스템에 악성 코드를 심는 해킹 공격을 당해 유출된 것으로 의심되는 유심 관련 정보는 이동가입자식별번호(IMSI), 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 유심 인증키 등이다. SK텔레콤은 주민등록번호, 주소, 이메일 등의 민감한 개인정보나 금융 정보는 유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지만, 유심이 가입자의 식별·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디지털 신원' 역할을 해왔다는 점에서 사안이 가벼운 것은 결코 아니다. 실제로 유심 정보를 도용해 복제한 뒤에 금전적·사회적 피해를 준 '심 스와핑' 사례들이 국내외에서 심심찮게 물의를 일으켰다. 트위터(현 X)를 만든 잭 도시 전 최고경영자(CEO)가 2019년 심 스와핑에 당해 그의 트위터 계정이 인종차별적인 글로 도배된 적이 있었고, 2021년 미국 통신사 T모바일 고객 수백명이 심 스와핑 피해를 봤다. 국내에서 심 스와핑이 문제가 됐던 것은 2022년 초로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가 약 40건의 심 스와핑 피해 의심 사례에 대해 수사를 진행했다. 당시 피해자들은 휴대전화가 갑자기 먹통이 되고 '단말기가 변경됐다'는 알림을 받은 뒤 적게는 수백만 원에서, 많게는 2억7천만원 상당의 가상자산을 도난당했다고 진술했다. 이들의 휴대전화에서 통신 이상이 생겼던 것은 범행 주체가 탈취한 유심 정보로 복제 유심을 만들어 다른 단말기에 넣은 뒤 피해자의 회선인 양 사용하면서 본래의 휴대전화 통신이 끊겼기 때문이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45790?sid=105

  • #뉴스같이봐요
  1. 익명의 크루
    익명의 크루
    엄마

육아크루에서 기다리고 있어요!

    육아크루 앱 다운로드 배너

    육아크루에서 친구를 만난 엄마들의 후기

    더보기더보기

      짝크루 후기 : 육아짝꿍을 만났어요!

        육아크루 앱 설치하고,

        동네 육아친구를 만나요!

        육아크루 앱 설치 QR
        육아크루 일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