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대문 크루
  • 자유톡
익명의 크루
익명의 크루
엄마

아기 낳고 건망증, 단어도 잘 생각 안 나는데, 왜이럴까요?

아기 낳고 나서 부쩍 건망증이 심해지고 단어도 생각이 잘 안나요. 저같은 분들 없으신가요? 맨날 “그거 있잖아 그거…그거..병에 소스 옮겨담을 때 쓰는 거, 안 쏟아지게..하는 거 .. 그거.” “깔때기?” “그래 그거!!” 하루에도 몇 번씩 이래요 ㅠㅠ 찾아보니 글쓰기가 좋은 해소 방법이래요. 짧게라도 다이어리를 쓰던지.. 그거 있잖아요..좋은 글귀 베껴쓰는 거 그거… 그렇지, 필사라도 하던지 해야겠어요 ㅠㅠ '내가 왜 이러지?' 단어 생각 안 나고, 말 장황하다면… ‘이 작업’ 시작해야 어휘력이 떨어진 것 같고, 주제가 명확하지 않은 이야기를 장황하게 늘어놓는 자신을 발견했다면, 당장 노트와 펜을 들자. '글쓰기'는 이런 증상을 해소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서 언어능력과 어휘력이 감소하는 건 아니다. 미국 버지니아대 심리학과 티머시 솔트하우스 교수팀 연구 결과, 뇌의 기능 중 기억·지각 속도·추론 등은 20대부터 점차 줄다가 60대 이후 급감하지만, 어휘력은 70대 이후 최고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이화여대 심리학과 연구팀 연구에서도 나이가 들면서 인지능력은 급감하지만, 어휘력과 언어능력은 약간 감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도 마치 어휘력이 떨어진 것처럼 나이가 들수록 물체나 사람의 명칭이 잘 떠오르지 않고, 대화의 갈피를 잡기 어려운 이유는 어휘력이 아닌 '인지기능'이 떨어진 탓이다. 미국 멤피스대 심리학과 로저 크루즈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언어능력이 떨어지는 이유는 언어능력 자체보다는 이해력, 기억력, 정보처리, 작업 기억 등 뇌의 다른 기능이 감퇴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실제로 하나의 과제를 끝낼 때까지 집중할 수 있는 집행통제 능력이 떨어지면 언어능력이 출중해도 조리 있게 말을 이어 나가지 못하거나 한 번 뱉은 말을 다시 되풀이하게 된다. 글쓰기는 인지기능을 포함한 뇌 기능의 노화를 늦추는 데 효과적이다. 글을 쓸 땐 소재를 생각하고, 주제를 결정하고, 끝맺음을 맺을 때까지 집중하는 등 다양한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미국 유타주립대 심리학과 연구팀이 평균 73.5세 성인 215명을 대상으로 분석했더니 일기 등 글을 꾸준히 쓴 사람은 알츠하이머 치매를 비롯한 모든 유형의 치매 발병 위험이 53%나 낮았다. 복잡한 단어를 자주 사용할수록, 글을 길게 쓸수록 인지기능 유지에 큰 도움이 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46/0000087185

  • #크루일상
  • #뉴스같이봐요
  1. 익명의 크루
    익명의 크루
    엄마

    이거 제 이야기인줄..ㅠㅠ 저도 요즘 자꾸 까먹고 단어 생각 안나고 그러더라고요. 저도 간단한 일기라도 써봐야겠어요.

지금 많이 보고 있어요!

크루톡 더보기